CS

Network 기술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

CAP.HEK 2024. 8. 1. 17:17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은 일반 사용자가 복잡한 서버, 네트워크 구성을 몰라도(구름 내부)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그 자원으로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그리고 이를 일반, 기업에게 임대해주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현재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 규모가 850조원 규모를 넘어섰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Service)

여러 서비스가 있으며 NIST(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일반적인 특징의 지정했습니다.

- 주문형 셀프 서비스

사업자와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개별 관리화면을 통해 서비스 이용.

-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속

모바일,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서비스에 접속 가능.

- 리소스 공유 

사업자의 컴퓨팅 리소스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며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리소스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음.

- 신속한 확장성

필요에 따라 스케일 업(처리 능력 상승) 스케일 다운(처리 능력 저하) 가능.

- 측정 가능한 서비스

이용한 만큼 요금 부과되는 종량제.

 

많은 서비스 유형이 있으며 그 서비스의 차이에 따라 모델을 분류하고있습니다

 

As a Service는

일반적으로 클라우드의 제 3자에 의해 서비스 모델이 제공된다는 의미입니다.

IaaS (InfraStructure Platform)

서비스로서의 인프라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고객을 대신해 클라우드를 통해 인프라(실 서버, 네트워크, 가상화, 스토리지)

를 관리 합니다. 사용자는 API 또는 대시보드를 통해 접근 할 수 있으며, 인프라를 대여하는 것과 비습합니다.

사용자는 OS,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를 관리

제공업체는 하드웨어, 네트워킹, HDD, 스토리지 및 서버 관리, 가동 중단, 복구, 하드웨어 문제를 담당합니다.

IaaS에서는 네트워킹을 온디맨드 방식으로 접근 할 수 있습니다.

 

예) AWS EC2 인스턴

CaaS(Container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컨테이너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배포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 및 SW 리소스를 제공 및 관리 합니다.

경우에 따라 IaaS의 하위 집합 또는 확장 서비스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가상 머신 대신 컨테이너를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컨테이너 실행 및 관리를 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제공업체에서 컨테이너화 된 앱을 빌드, 배포 환경을 관리하고 유지 보수합니다.

PaaS/aPaaS(aplication / Platform as a Service )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개발자가 서버, OS부터 모든 네트워킹, 저장공간, 미들웨어, 툴에 이르기까지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실행, 관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또한 PaaS는 애플리케이션 SW 플랫폼이 제 3사를 통해 제공됩니다.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인프라에서 실행 할 수 있습니다.

하위 서비스인 aPaaS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배포 및 관리를 위한 플랫폼입니다.

 

제공 업체는 플랫폼을 호스팅하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기본 인프라 유지 관리에 신경 쓰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하여 개발&배포할 수 있습니다.

PaaS-TA

한국 맞춤 변형입니다. 국내 IT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지원으로 만든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SW형 클라우드

웹 브라우저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상에서 SW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구독 형태로 SaaS 제공 업체 서버에 접속하여 SW를 사용하고 데이터를 저장,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별도의 SW 설치나 업데이트가 필요없어 유연하게 확장 가능합니다.

어떤 장치라도 인터넷이 연결되어있다면 접근 할 수 있습니다.

비용 또한 사용량에 따라 종량제로 청구됩니다.

 

즉,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API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연결합니다.

따라서 개별 PC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습니다.

제공업체가 사용자를 대신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합니다. SW 업데이트, 버그 수정, 기타 SW 유지보수를 담당합니다.

 

예시) 구글 웹 Docs, 스프레드 시트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온프레미스(On- Premises)

하드웨어 마련부터 애플리케이션 배포까지 모두 사용자가 직접 하는 구조입니다.

 

 

관련 기술

1. 가상화 기술

클라우드, 그리드, 서버 네트워킹.

컴퓨터 HW 동작 과정을 SW로 구현하여 컴퓨터 속 가상 컴퓨터를 구축합니다.

2. 그리드 컴퓨팅 (Grid Computing)

멀리 떨어져 있는 일반 사용자들의 컴퓨터 자원을 가상화 하여

토렌트 같은 SW로 동작시킵니다.

3. 유틸리티 컴퓨팅 (Utility Computing)

컴퓨터 자원을 가상화, 임대 해 주는 모델입니다.

단, 개인 대상도 하는 클라우드, 그리드와 달리 B2B 모델만 있습니다.

4. 서버 기반 컴퓨팅 ( Server Based Computing)

서버 하나에 SW를 저장, 다른 장치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기업, 군대 내부망, 인트라넷을 구축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5. 네트워크 컴퓨팅(Network Computing)

하나의 서버가 아닌 가상화된 네트워크를 사용합니다.

서버 기반 컴퓨팅과 마찬가지로 기업 등 내부 인트라넷을 구축 할 때 사용합니다.

 

 

공부하며 필요한 부분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틀린 부분,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작성하며 보완해 가고있습니다.